농림축산검역본부는 18일 평택항컨테이너터미널 야적장 바닥 콘크리트 틈새에서 붉은불개미 일개미 20여 마리를 발견해 주변 지역을 대상으로 소독과 방제를 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검역본부는 야적장에서 붉은불개미가 나온 것은 지난해 9월 부산 감만부두에 이어 이번이 두 번째라며 검역본부 소속 컨테이너 점검 인력이 찾아냈다고 설명했습니다.
당국은 붉은불개미 발견 지점과 주변 반경 5m 내에 통제라인과 점성페인트로 방어벽을 치고, 스프레이 약제를 뿌렸다고 하는데요 또 방제구역 반경 100m 안에 있는 컨테이너는 이동제한을 하고, 소독 후에만 반출하도록 했다고 밝혔습니다. 환경부와 농촌진흥청 등 관계기관 전문가는 19일 합동 조사를 를 통해 군체 유무와 크기를 확인하고 방제범위를 결정할 계획이라고 하는데요
붉은불개미는 남미에 주로 서식하며 크기는 3∼6mm에 불과한 작은 개체 인데요 화물 컨테이너 등을 통해 전 세계로 퍼지면서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은 ‘세계 100대 악성 침입 외래종’으로 지정 했습니다. 독성물질을 가지고 있어 사람이 죽을수도 있어 '살인개미'라는 별명까지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붉은불개미의 꼬리 부분에는 날카로운 침이 있는데요 이 침에 찔리면 마치 불에 덴 것처럼 심한 통증을 느낀다고 합니다. 침에는 염기성 유기화학물인 알칼로이드인 솔레놉신과 벌, 독거미, 지네 등에 있는 독성물질 포스폴리파아제, 히알루로니다아제 등이 섞여 있어 조심해야 하는데요 만약 쏘이게 된다면 20∼30분 정도 신체의 변화를 잘 살펴야 한다고 합니다.
따끔한 통증과 함께 해당 부위가 가렵기만 하면 큰 문제가 없지만 평소 곤충 독 알레르기가 있다면 다른데요 쏘인 후 부기와 두드러기가 전신으로 퍼지면 ‘위험 신호’라고 합니다. 알레르기로 인한 급성 쇼크, 즉 ‘아나필락시스’ 반응이 올 수 있어서 처치가 늦으면 자칫 사망할 수 있으니 빠른 대처가 필요 합니다.
일각에선 붉은불개미의 위험성이 과장됐다는 지적도 있는데요 붉은불개미 정부합동조사단에 참여한 류동표 상지대 산림과학과 교수는 면역력이 약한 사람이 물릴 경우 치명적일 수 있으나 붉은불개미의 독성은 국내에 서식하는 꿀벌, 말벌보다 약해 사망 위험은 낮다고 말해 사람들을 안심 시켰습니다.